카테고리 보관물: 감상/보고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022)

요즘 영상물에 전혀 손을 안 대고 있는데
(오비완 제외. 아 이것도 글을 쓰긴 해야 하는데.)

몇 개 클립을 보고 궁금해서 시작.
아직 넷플릭스에는 4화까지밖에 안 올라왔다.

아, 사랑스럽네.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서펀트 증후군 캐릭터를 내세운 영화나 드라마가 나름 획기적이었으나
(내가 접한 최초의 작품은 ‘레인맨’이었으니)
그 뒤로 시간이 지나면서 정형화되는 문제가 나타났고,
또한 의학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어
사람들의 인식이 너무도 빨리 변화하다 보니
한국의 경우 중간의 몇 단계를 뛰어넘게 되어 이리저리 충돌도, 시행착오도 많을 수 밖에 없는데
굉장히 고민을 많이 한 게 보이고,
주변에서도 우려가 많았던 걸로 보이는데 3화의 주제를 통해 정면으로 돌파하는 길을 택했다.
물론 앞으로 더 봐야 알겠지만

“판타지”라는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온화한 작품을 만들었다.
가끔은 지나치게 ‘온화한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솔직히 내가 한국드라마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감정과잉인 장면들이 너무 많아서 지치기 때문이기도 하거든.
나는 작가들이 그놈의 고래고래 악지르는 장면과, 펑펑 우는 장면 없이 드라마를 만드는 벌칙이라도 한번 받아봐야 한다고 생각해.

그런 점에서 오히려 기분 좋게 드라마를 보고, 차분하게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다.
생각 없이 넘어가지 않도록 적어도 한두군데씩은 계속 찔러주고 있고.

몇 가지 걱정되는 부분이 있는데
(출생의 비밀 제발 ㅠㅠ 남자의 부모 제발 ㅠㅠㅠㅠ)
제발 피해주길 바라지만 아무래도 힘들 것 같아
과연 이 게으른 내가 끝까지 보게 될 것인가, 가 궁금하네.

“메이의 새빨간 비밀” (2022)

디즈니 플러스에서 시청.
엔칸토보다 이걸 먼저 손댄 걸 보니 나도 별수 없는 아시아인인 모양이다.

귀엽고, 사랑스럽네. ^^*
정말 막 사춘기에 들어선 ‘착한’ 아이의 일기장을 부드럽게 순화해 놓은 버전으로 보는 것 같다.
메이의 친구들이 귀엽고,
레서팬다는 더 귀엽고,
케이팝이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좀 알겠고,
그리고…이게 뭐라고 절정 부분에서 눈물을 주르륵 흘렸는지 모르겠다, 어후.
점점 더 예쁜 걸 보면 감성적이 되어가는 걸 막을 수가 없다.
정말 나이들었나 봐.

내친 김에 역시 디플에 있는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다 봤는데,
각 팀 헤드가 전부 여성이고
감독과 프로덕션 디자이너는 아시안 여성.
그게 참 묘하게도, 서양인들의 자전적 이야기에는 이런 느낌이 들지 않았는데,
동양 여성이 가족을 다룬 자전적 이야기 – 반항이 아니라 통합과 긍정적인 결과를 이야기하는 –
을 보게 되면 어떤 마음으로 이 ‘타협’을 했으며, 선은 어디에 그었을지 궁금해지곤 한다.
실은 이보다도 더 가슴아픈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하지만 여기에서 멈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단 말이지.
편견인걸까.

그치만 메이 정말 사랑스럽고. ㅠ.ㅠ

이카로스(2017)

러시아 선수들 도핑에 관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이미 국가 이름으로 출전하지 못하는 와중에
이번 베이징에서도 피겨에서 또 터진 걸 보고 찾아봤다.

이야기는 사이클링을 하는 감독이 암스트롱의 약물 소식에 놀라
스스로 약물을 투여하고 도핑 검사를 피해갈 수 있는가를 시험하는 걸로 시작되는데,
그 과정에서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의 도움을 받게 되고,
다큐 촬영 도중 소장이 수사 대상이 되면서
미국으로 도피, 러시아 스포츠 선수들의 약물 투여가
러시아 정부 주도로 체계적으로 이뤄졌음을 폭로한다.

저 흐름 자체가 굉장히 놀라웠는데,
다큐멘터리를 촬영하기 위해 인맥으로 연결된 대상이
상당한 거물인 전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이라는 것부터 일단 충격
그리고 후에 미국에서 사실을 폭로 후 목숨의 위험을 느끼는 와중에도
러시아에 있는 가족들과 무사히 화상통화를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상당히 놀라웠다.

한국인으로서 독재에 너무 익숙해진 건가 싶기도 하고.

중반까지 감독이 자신의 몸으로 실험을 하는 부분은 좀 지루함이 있었고
(특히 내가 이 다큐의 내용을 알고 있는 이상)
반면에 후반은 더 자세하게 이야기할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 빠르게 핵심만 짚고 간다.
아마 다른 이유가 있었을지도.
개인적으로 “이렇게 다큐에서 얼굴이 다 공개되는데 증인 보호 프로그램 같은 게 효과가 있나”
하고 생각하는 걸 보니 역시 난 독재에 너무 익숙해진 한국인인 것 같기도 하다.

이미 이런 증거가 다 밝혀졌음에도
국가의 이름은 아니더라도 러시아 협회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하도록 허가한
IOC에 환멸을 느낄 수 있다.
아마 그렇기에 이번에도 더욱 노골적으로 저질렀겠지.
이 경우엔 선수들이 불쌍하게 생각하기도 어려운 게
처음에는 외부 압력에 의한 것이었을지도 모르나
지금은 그걸 당연하게 여기며 승리의 환희와 결과를 만끽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작하기가 힘들다.

“더 배트맨” (2022)

극장에 갔던 게 언제더라.
그놈의 코로나 때문이기도 하지만 너무 바빠서
극장에 걸음하지 못하고 있는 게 어언….
이지만 배트맨 개봉했다길래 못 참고 다녀왔다.

솔직히 그동안 거의 소식을 찾아보지 않아서
정보가 전무한 상태였는데

기대 이상이었다.
ㅠ,ㅠ 특히 영상의 경우는 코믹스를 화면으로 옮길 때 모범답안이 아닐까.
이거 코믹스요, 하고 외치는 이상한 효과 안내고 색감과 연출만으로도 이렇게 할 수 있잖아!!
심지어 그 약간 촌스러운 질감까지 ㅠㅠㅠ

로버트 패틴슨에 대해서도 상당한 의구심이 있었는데
……아름다운 턱입니다, 감독님.
감독님들의 심미안을 다시는 의심하지 않겠습니다. 크흡.
영화 내내 거의 가면 쓰고 나온 것도 신의 한 수.

어리고 미숙하고 사회성 부족에 중2병 기질이 다분하고,
그렇지만 그런 배트맨이 멱살 잡혀서 현실로 끌려나와
각성하고 성장하는 내용이 좋았다. 

보는 내내 잠깐, 이거 어디서 봤더라, 잠깐 이 스토리 뭐더라,의 연속이긴 했지만
코믹스 팬질을 시작했다가 금방 접은지라 짚어 말할 수 없다는 게 아쉬웠어.

단점은 역시 너무 길다는 것.
유치하다고밖에 말할 수 없는 몇몇 장면들. 특히 캣우먼과의…그, 으음.
하지만 뭐, 하나를 얻고 하나를 버렸다고 생각하기로. 뭐든 완벽하게 마음에 들 수는 없는 법이지.
그리고 동시에 몇몇 실루엣은 캡쳐해서 박아두고 싶을 정도로 좋았으니까.

폴 다노는 그 평범함과 기괴함이 좀 무서울 정도였고
고든 형사님과 아직 어린 배트맨과의 유대관계도 좋았어.
뱃맨 이야기 트레이드마크긴 하지만 악당이 항상 너나 나나 하면서 비웃는 것도
한 동전의 양면이 아니라 실은 같은 틀에서 나와 같은 쪽을 보고 있는 다른 꼴이라는 것도

아, 극장에서 한 두 번 쯤 보고 나면 만족스러울 거 같은데 지금 스케줄 생각하면 불가능이겠지. 엉엉
이것도 극장용 영화라.

그건 그렇고, 난 리들러가 계속 “To the Batman”에서
브루스 웨인 때부터는 “For the Batman”이라고 해서
대충 정체를 알고 있지 않은가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들은 아니라고 해서 참 헷갈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