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왕사신기 – 재판 결과 나왔습니다.
호크윈드님도 말씀하셨지만, 현재 “태왕사신기 표절이 아니다”라는 제목으로 나온 기사의 정확한 내용은 “소송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기각”되었다는 겁니다. 즉 선정적인 걸 좋아하는 기자들이 아무렇게나[혹은 아주 교묘하게 계획적으로] 붙인 대로 “표절이 아니다”라는 결론이 나온 건 아니라는 거죠.[확실히 줄거리와 캐릭터의 유사성은 인정 받았으니까요.]
그러므로 문제는 다시금 “과연 시놉시스가 다른 작품과 비교가능한 저작권의 대상이 되느냐”로 모아집니다. 그리고 제가 알기로, 대답은 “yes” 입니다. 얼마전 시놉시스도 독립적인 저작물로서 저작권을 갖는다는 판결이 나온 적이 있었지요. [한참 전에 찾은 자료라 다시 뒤져봐야 할 듯 하지만] 따라서 선례를 빌어 설득한다면 상위법원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건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느냐의 문제에요. 결정을 내리는 재판관들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사람들의 세계관을 말이지요.
개인적으로 드라마가 완성된 후에 드라마를 고소했을 경우 나올 판결에 대해서는 그다지 기대하지 않고 있습니다. “내사랑 뚱땡이”의 선례도 있지요. “유사하지만 드라마가 만화보다 구성이 복잡하고 만화에 들어있지 않은 내용이 가미되어 있으며 매체가 다르기 때문에…어쩌구 저쩌구”였지요, 아마? 게다가 보아하니 내용이 무지막지 바뀐 부분도 크게 먹힐 듯 하구요. [대체 그렇게 뜯어 고치려면 시놉시스는 왜 필요한 거고, 왜 그렇게 급히 발표한 건데? 싱긋.]
덧. “역사적 사실은 공공의 부문” 어쩌고 저쩌고는 언급할 필요도 없으니 자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저건 방향을 잡아도 한참은 잘못 잡은 판사의 첨언에 불과하다고 봅니다만.
덧2. 음모론은 싫어하지만서도….일요일에, 그것도 “표절 아니다”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기사들은 영 석연찮은 구석을 남겨주는군요.
수정: 다시 수정. 쳇. -_-;;;
태그 보관물: 바람의 나라
태왕사신기 – 재판 결과 나왔습니다.
“드라마 `태왕사신기’ 표절 아니다”
………….전략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두 저작물은 개략적 줄거리와 캐릭터의 성격에 있어 일부 유사점이 있지만 원고의 작품은 단행본으로 출간된 완전한 형태의 만화인 반면 피고의 저작물인 시놉시스는 최종 저작물이 아닌 앞으로 저술할 드라마 시나리오의 개요를 정리한 것으로 `실질적 유사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설령 피고의 시놉시스가 원고의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는 2차적 저작물에 해당한다고 해도 역사적 사실은 어느 한 작가의 저작권에 속한다고 볼 수 없는 공공의 영역에 해당하므로 동일한 역사적 배경과 사실을 사용했다고 해도 저작권 침해라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후략
++++
그러니까 어디가 역사적 사실에 동일한 역사적 배경이냐고요. -_-;;;;;;
당신은 신수가 역사적 사실이냐? 광개토대왕이랑 대무신왕 때가 동일한 역사적 배경이냐?
음, 아무래도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역시 “완성된 작품”과 “시놉시스”인 것 같은데, 여기 있어서는 법적으로 잘 아시는 분들이 앞으로 사람들을 설득해가야 할 점이라 봅니다. 앞으로 항소에서…천천히……-_-++++++ 대법원은 뻘로 있답니까. [이거 정말 모금운동이라도 해야할지도…ㅠ.ㅠ 재판은 돈 많이들텐데…크으….]
아, 제기랄, 평화로운 일요일 아침을 엉망으로 만들어주네, 이거.
[뮤지컬 바람의 나라 관련] 만화와 예술계?
`만화 좋아하면 예술가 될 가능성 커요`
아하하, 연출가 이지나님, 대학교 때 만화가게를 운영하신 경험이 있군요. 하긴, 그래서 바람의 나라에 애착이 더 많으신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전략
두 사람의 성격이 판이하다. 김씨는 말도 조용조용하고 침착한 반면 이씨는 웃음이 많고 외향적이다.
김씨는 “나는 정적이지만 종이(만화 원고) 안에선 역동적이다. 파괴적이고 폭력적이기까지 하다. 이지나 연출가는 역동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로맨틱하다”라고 말한다.
이씨는 “만화는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장르다. 어릴 적부터 만화를 접한 사람이 예술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공연계에도 나처럼 만화와 깊이 관련된 사람이 많다. 최근 영화들이 만화의 스토리를 차용하는 데 바쁜 걸 보면 만화는 굉장히 앞서가는 장르”라며 만화라는 매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동명의 온라인 게임으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드라마 <태왕사신기>와 만화 시나리오 표절 건으로 소송 중이고. 뮤지컬로 두 차례나 각색되면서 이번에도 큰 기대를 모으는 <바람의 나라>. 두 사람의 대화는 만화가 상상력 덩어리이며 문화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구심점임을 보여 준다.
………생각하는 건 비슷한데, 행동이 저리 다르다니. -_-;;;; 자기 작품에 수많은 만화구도를 차용하면서도 만화를 뭣같이 아는 송지나 씨하고는 태도가 정말 다르잖습니까?
태왕사신기 관련 다음 아고라 투표 진행중
링크 정리는 misha님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misha님의 블로그에 가시면 더 많은 관련 글들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한동안 상단에 위치하며, 계속되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바람의 나라 무단도용 대응본부 다음 카페
바람의 나라 무단도용 대응카페입니다.
다음아고라서명운동-‘태왕사신기’의 정직한 창작을 바란다
5월 19일 마감이며, 5월 7일 오전 1시 현재 6974명의 네티즌이 서명에 동참하셨습니다.
많은 분들에게서 서명이 안된다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ㅠ.ㅠ 이건 또 뭔 사태입니까.
다음아고라 토론방 : 태왕사신기, 표절의혹? (배용준 씨 차기작)
4월 26일 낮 1시 현재 94분의 추천, 12087번 조회, 80건의 댓글이 달려있습니다.
다음아고라토론방 : 태왕사신기의 주인공이 과연 광개토대왕인가?
4월 26일 낮 1시 현재 31분의 추천, 2851번 조회, 29건의 댓글이 달려있습니다.
다음아고라 태왕사신기와 바람의 나라 표절논란 설문조사
올블로그 주제별 트랙백에 “태왕사신기 바람의 나라 도용 논쟁“이 올라갔습니다.
태왕사신기에 관련된 글을 적으신 뒤
http://www.allblog.net/subject/tb_subject.aspx?idx=70로 트랙백을 보내시면 등록됩니다.
올블로그에 등록되어 계실 경우 “태왕사신기 도용”이라는 두 단어가 포함된 글이나 제목을 쓰실 경우 자동으로 주제에 등록이 됩니다.
혹시 올블로그 주제별 트랙백이 뭔지 모르겠는 분은 이글루스의 트랙백 밸리와 같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다음아고라서명운동-네티즌의 생각을 막는 다음, 네이버??
‘태왕사신기’와 관련한 기사의 댓글 삭제 및 다음 아고라의 서명오류, 토론방의 추천수/조회수 삭제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입니다.
* 태왕사신기-바람의 나라 표절의혹 사건에 대한 저 자신의 개인적인 생각은 ‘바람의 나라 표절의혹’ 카테고리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조금 감정적인 부분도 많으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읽으시는 분들께 냉정한 판단을 부탁드립니다.
* 태왕사신기 시놉시스는 2004년 9월에 공개되었으며 바람의 나라 무단도용 대응본부 기본자료실 23번 게시물 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송지나 작가님과 드라마다의 공식 입장은 바람의 나라 무단도용 대응본부 자유게시판 게시물 416번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여기까지입니다.
자료 제공과 사고/판단은 역시 별개의 몫이겠지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고, 행동해주셨으면 할 따름입니다.
덧. 하지만 누가 뭐래도, 네이버의 댓글 삭제는 이해할 수 없는 처사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