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글 목록: 2018년 3월월

“얼터드 카본”(2018)

인간의 정신을 기억저장소에 보관하고 백업할 수 있게 되어, 그게 부서지지 않는 한 육체를 갈아 타며 영원히 살 수 있는 사회.

뭐랄까, 이렇게까지 80년대를 표방해도 되는 걸까
하고 첫 화면부터 의심스러웠던 작품.
그런데 놀랍게도 원작 소설이 2008년 작이었다.
아니 설마…원작도 이런 내용은 아니겠지. 제발 설정만 가져왔다고 말해줘.
안 그러면 너무 슬플 거 같은데.

그런데 보는 내내 “아, 이거 너무 촌스러”라고 생각하면서도
재미있게 봐서 내 감수성 촌스럽구나 하고 좌절하고 말았다.
자라며 보내온 시대가 그렇다 보니 어쩔 수가 없는 걸까 싶기도 하고. 캬캬캬캬캬
여하튼 리들리 스콧이 참 많은 걸 잘못했어. 

매 화마다 벗기기로 계약하고 배우들에게 얼마나 줬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으며
[도대체 왜 이런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애들을 거의 강박증에 걸린 것처럼 벗기는 거지. 굳이 문란함을 표현하기 위해 화면으로 보여줄 필요는 전혀 없잖아. 아니면 그정도로 시청자들을 끌어들일 자신이 없는 건가? ]
앞부분은 매우 흥미롭게 보다가
확실히 뒤쪽에서는 실망하는 부분이 늘었는데

나는 이 이야기의 기본 틀이 혁명과 종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건만
그 이야기는 심지어 겉핥기도 하지 않고 지나가고 결국은 너무 개인적인 수준에서 끝나버렸기 때문이다.
다음 시즌을 염두에 둔 기획인건지 어쩐지
여하튼 굉장히 용두사미가 되어 버렸다.

하여간 사상적 주축 없이 사랑에 매달리는 사내자식이란. -_-;;;

하지만 언니 절 가져요!!!!

조엘 킨나만이 그 커다란 정치에 항상 소중히 갖고 다니는 유니콘 가방이 귀여웠어.

근황

트위터에서 보신 분은 알겠지만

실은 지지난 주말에 어머니께서 돌아가셨어요.
한동안 블로그에 들르지 못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고요.

노인성질환을 앓으셨고,
점차 상태가 악화되어 병원에 계셨기에
어느 정도 각오는 하고 있는 일이었는데
한번 고비를 넘기시고 한동안 상태가 좋은 편이어서
안심하고 있었던지라
새벽에 갑자기 연락을 받아서 좀 정신이 없었습니다.

부랴부랴 광주에 내려가고
형제들과 장례를 치르고,
다시 올라온 후에는
어쩌다 급한 일감이 들어와서 또 다시 일주일 가량 두분물출했네요.

이제야 좀 정신을 차렸는데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았습니다.

그냥, 그렇다구요.
오늘은 아는 분이 어머니 연미사를 신청해주셔서
새벽에 거기 참석했거든요.
그러다보니 한 동안 블로그에 안 들어왔다는 게 기억나서.

그냥, 그렇다구요.

이제 완전히 일상으로 돌아와야할 것 같네요.

“코드걸” (2015)

넷플릭스에서 시청.

전세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친화적 모바일앱 개발 콘테스트인 “테크노베이션” 을 배경으로
2015년에 참가한 팀들을 따라가는 다큐멘터리.

여러가지 면에서 흥미로웠다.

1. 단순히 코드를 배우고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팀 작업을 넘어 소녀들에게 ‘사업의 기초’를 가르친다는 점.  다시 말해 여자아이들에게 단순한 너드나 개발자가 되는 것을 넘어 운영가, 사업가가 되는 데 대한 흥미를 자극한다.

2. 실제로 어떤 점에서 이런 콘테스트는 온갖 차별적이고 불공평한 조건들을 넘어서야 하는데, 미국 팀들이 금전적으로, 환경적으로, 사회적으로 훨씬 풍부하고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반면 사회적 의미를 지닌 콘테스트이기에 자신들 스스로도 ‘제3세계 경쟁자들’보다 덜 절박해 보이지 않을까 걱정하며 실제로도 그렇다. 사고의 범위 자체가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건 자명한 사실이고 그들의 의도는 가끔은 무척 순진해보이기조차 하다. ‘주제와 의도’를 우선시할 것인가 앱의 ‘기능’을 우선시할 것인가라는 주체측의 고민과 결말까지도 왠지 빤히 보이는 느낌이고.  

3. 미국 동부의 명문학교 팀은 결승전에 진출한 이후 교장을 만나고, 주지사를 만나고, 사진을 찍고, 어른들 앞에서 성인처럼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고, 학년의 85%가 사용하는 iOS를 기반으로 앱을 만든다. 브라질과 인도 팀은 자신의 언어가 아닌 영어로 앱을 만들고 프레젠테이션을 해야 하고 나이지리아 팀은 내가 모르는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을 만들며 미국 비자 시스템 문제로 마지막 순간이 되어서야 가까스로 대회장에 도착한다.(유창한 영어를 보건대 사실 이들도 나름 상류층일텐데 여자들만 참가할 수 있는 IT 대회라니 사기나 인신매매 같은 게 아니냐고 말하는 부모들도 있고)

4. 소녀들의 도전의 세계를 맛봐야 했는데 내게 인상적으로 남은 것은 도리어 각 세계의 차이점이라니. 그래도 재미있긴 했지만.

“더 포스트” (2018)

어렸을 때부터 언론을 다룬 영화는 늘 내 로망이었다.
그런 점에서 스필버그와 메릴 스트립과 톰 행크스의 조합은 넘어갈 수 없는 영화임이 분명하고.

1971년 뉴욕 타임즈의 “펜타곤 페이퍼” 보도 사건을 둘러싸고
경쟁사로 떠오르고 있던 워싱턴 포스트와 여성 사주인 캐서린 그레이엄에 관한 이야기.

언론의 본분이란 무엇인가, 라는 사회적인 주제를 현 트럼프 정권 하에서
시의적절하게 다루는 것은 물론
시대극으로서도 흠잡을 데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 중심에 브래들리가 아닌 그레이엄을 세움으로써
여성주의적인 시각까지 포섭했다.

리들리 스콧도 그렇고 스티븐 스필버그도 그렇고
거장들은 가끔 중간에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을 때
녹슬지 않은 기량은 물론
특히 이제는 무엇보다 진지한 이야기를
어깨에 힘을 빼고도 부담스럽지 않게 전달할 수 있다는 데 감탄하게 되는데
특히 이 작품을 “레디 플레이어 원”을 촬영하는 도중에 완성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지난 수십년 동안 사교계와 가정에 충실했던 여성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도 짙은 양복을 입은 사내들에게 둘러싸여 주눅들어 있다가
자신의 목소리를 찾은 후
비록 플래시도 없고 주목은 덜 받을망정 아무렇지도 않게
계단을 내려와 선망의 눈빛을 지닌 여성들을 헤치고 돌아가는 장면에서 정말 펑펑 울었다.

신문을 인쇄할 활자를 뽑고, 윤전기가 돌아가고, 지하에서 기계가 돌면 위층이 흔들리고,
대기하고 있던 트럭들이 신문을 실어나르는 장면이 너무 아름다워서 울컥했다.
미학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맥나마라의 말처럼 이마저 ‘역사적 연구 자료’로 남긴 것 같은 느낌이라.
여러 모로 생각할 부분이 많아
다시 보고 싶은 영화다.

극장에 오래 걸려 있지는 않을 것 같으니 꼭 보러가시길.

그리고 극장을 나오는 순간 “대통령의 사람들”을 보고 싶어질 것임.
내가 그랬다.

덧. 주 각본가인 리즈 한나는 여성으로 85년 생. 일이 진행되면서 “스포트라이트”의 각본가도 참가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