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영화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올해 원작 있는 장르쪽 영화만 정말 주구장창 보고 있는 것 같군요.

여튼 워크래프트
불타는 군단 때에 몇 달 플레이하다 고양이를 키우면서 모니터 앞 등쌀에 못 이겨 결국 접어서 아까웠었죠 크흑.
그래서 설정 지식은 거의 없는 상태인데.
재미있었어요!!
사실 예고편만 봤을 때에는 화면도 그닥, 예고편 구성도 그닥이었는데 말입니다.
생각보다 그래픽도 뛰어나고
실사와 어우러지는 것도 생각만큼 어색하지 않고
[일단 마법이 멋있어서 정신이 나갔음. ㅠ.ㅠ]
스토리는….으음 좀 비어있긴 해도
[감정선의 발전이라든가 어떤 인물이 그렇게 생각하게 된 원인이라든가, 그런 행동을 하게 된 근거라든가
….젠장 나열해놓고 보니 진짜 많이도 비었네]
머릿속 내 멋대로 캐논으로 끼워 넣고 보니
[뭐, 그럴 수도 있지. 이랬겠지, 저랬겠지, 이렇게 보면 되겠지 그랬다는데 뭐 어쩔겨 ]
마구 신납니다!!!
아제로스 최고 미남 듀로탄님 엉엉
촬영한 배우보다 오크가 더 잘생겼어. 보정 너무 심하게 들어간 거 아닙니까.
서리늑대 엉엉엉.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메디브 근사하지 않습니까, 메디브.
어휴 아저씨 그 갈라진 목소리에 반했네.
…라고 했는데 집에 와서 찾아보니 엑스멘 3의 엔젤 배우더라고요.
허거. 좀 충격이었지 말입니다. 세월이 그렇게 흘렀다니.
여튼 메디브. ㅠㅠ 원래 그 친구는 저 세계 오크를 구하려고 했던 것일 뿐이라구요 크흡.
[역시 뇌내망상]
처음 영화 시작할 때 1인칭 시점으로 보여주는 거라든가
진짜 게임하듯이 각 마을들을 조감도로 보여준 게
마음에 들었음요.
음악 완전 좋아! 하면서 끝냈는데 타이틀을 보니 라민 자와디.
북미에서 흥행 못했다던데
중국에서 돈 많이 벌어서 2탄 찍읍시다.
쓰랄님이 얼마나 잘생기고 카리스마 끝내주는지 이 두 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세레니티”

청소를 끝내고 무심코 텔레비전을 틀었다가
허접한 듯한 SF 영상이 나오길래
이건 뭔가 하고 잠시 들여다봤는데
뭔가 묘하게 마음에 들더라고.

그래서 조금 보니
놀랍게도 그게 영화의 인트로 장면이더군.

케이블에서 영화를 처음부터 보는 게 흔치 않아 계속 봤더니
출연진 이름이 뜨는데
얼라려, 출연진이 이상하게 화려한 이 영화는 뭔가.
게다가 주인공은 “캐슬”의 캐슬이 아닌감?

한참 보다가
“얼라, 이거 생각보다 꽤….허접한 듯 싶으면서도
계속 보게 하는 상당한 매력이 있는걸. 귀여버!!!”
이라고 외쳤더니
여기저기서
이게 드라마 “파이어플라이”의 극장판이라는 소식을 보내왔다.

“조기종영됐는데 팬들이 우겨서 극장판 만들었대요”라면서.
제목은 분명 어디서 들었다만, 그 드라마가 장르가 SF였어?
난 현대물인 줄 알았더니만.

그건 그렇고, 조만간 “파이어플라이”라는 드라마부터 찾아 봐야겠다.
극장판인 후속편도 괜찮았는데 드라마 본편은 더 귀엽지 않겠어? ^^*
응응, 맘에 들어, 맘에 들어. >.<

….불행히도 마무리짓느라 그러는지 애들을 팍팍 죽여서…흑흑. 넘해.
슬펐다구우. ㅠ.ㅠ

덧. 주얼 스테이트 양이 SF계의 여신으로 추앙받는 이유를 알 것 같기 시작했어.
여기도 나오잖아!!!

“내 이름은 칸”

이슬람계 인도인이며 아스퍼거스 증후군을 앓고 있는 리즈완 칸이 9.11 이후 삶에 커다란 변화가 찾아오면서 미국 대통령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입니다.

라고 말하면 어느 정도 왜곡을 하는 셈입니다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도/미국 합작 영화지만 감독도 배우도 인도인이다 보니 발리우드식 연출이 강합니다. 제가 인도 영화에 익숙치 않아서인지 초반에는 배우들의 연기도 조금 어색하게 느껴졌고요. 연출이 튀는 건 편집 탓도 큰 것 같지만. 그래도 시간이 지나고 스토리를 따라가다보면 금방 익숙해집니다.

무엇보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영화입니다. 우리야 극동아시아인이라는 위치상 – 게다가 종교가 문화적으로 우리에게는 큰 의미를 차지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 9.11이라는 사건을 한발짝 떨어져 볼 수 밖에 없습니다.[하지만 인도인도, 아랍인도 서양에서는 Asian이라고 불리죠.] 그렇지만 9.11이후 미국작가들의 소설들만 봐도 ‘기원전, 서기, 포스트 9/11″이라는 말은 실감하지 않을 도리가 없죠. 게다가 더욱 대단한 건 저 사건이 미국과 알 카에다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우리처럼 문화적으로나 지역적으로나 멀리 떨어져 있는 인간들에게도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쳤다는 겁니다. 오랫동안 지속되던 냉전이 드디어 끝나고 “더 이상 핵폭탄 스위치를 잘못 눌러 인류가 멸망할 일은 없을 거야”라고 안심하던 차에 다시금 공포와 불안이 조성되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백인 주류를 제외한 우리 모두가 ‘처음에는 가해자였으나 다시 피해자가 된 그들’과 언제 같은 입장에 처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 때문일까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이와 비슷한 일을 벌일 겅우 비슷한 결과가 일어날까요? 그럴리가 없습니다. 그래봤자 대상은 가난하고 힘없는 나라일 테니까. 가정 자체가 우스운 거죠.
아무리 개독이 설치며 나라를 말아먹는다고 해도 말입니다. -_-;;;

덧. 사룩 칸은 인도영화를 잘 모르는 저도 이름을 들어봤을 정도인데, 연기 잘하네요. 인도 여배우들은 정말 여신들입니다. 으윽.

덧2. 인도는 아직도 힌두계와 이슬람계가 다투는 중인가요. ㅠ.ㅠ

덧3. 저는 칸이 감옥에서 풀려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인도주의적인 노력이 아니라 너무나도 노골적인 이유라는 그 자체가 미국에 대한 풍자라고 생각합니다. 

덧4. 헐리우드에 대한 인도의 문화침략 – 이라고 해야할지, 헐리우드의 ‘큰 시장 하나 또 잡았다! 열심히 활용해보자’라고 해야할지 – 이 한동안 자주 눈에 띄더니 드디어 이런 방향으로 나타나는군요. 한동안 “신기하고 신비한” 사이비 일본문화[중국인과 한국인들이 보면 코웃음칠]가 열심히 활개치더니만 과연 인도는 얼마나 잘 그려지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인도는 서양과 좀더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니 사정이 나을 것 같지만 말입니다.
그건 그렇고 요즈음 인도 경제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피부로 느껴지네요. 

덧5. 요즘 인터넷에서 “핀란드나 스웨덴도 그랬다 운운 하면서 이슬람문화가 들어오면 나라 망친다”고 글싸지르는 것들은 어디서 뭐하던 정신병자들입니까? 요즘 개독교가 미쳐가면서 여기저기서 들고 나오자 이걸로 무마해보려는 X새끼들인가요, 아니면 한민족 어쩌구하면서 하수구에서 기어나온 신나치주의 XX 들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