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영화

“내 이름은 칸”

이슬람계 인도인이며 아스퍼거스 증후군을 앓고 있는 리즈완 칸이 9.11 이후 삶에 커다란 변화가 찾아오면서 미국 대통령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입니다.

라고 말하면 어느 정도 왜곡을 하는 셈입니다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도/미국 합작 영화지만 감독도 배우도 인도인이다 보니 발리우드식 연출이 강합니다. 제가 인도 영화에 익숙치 않아서인지 초반에는 배우들의 연기도 조금 어색하게 느껴졌고요. 연출이 튀는 건 편집 탓도 큰 것 같지만. 그래도 시간이 지나고 스토리를 따라가다보면 금방 익숙해집니다.

무엇보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영화입니다. 우리야 극동아시아인이라는 위치상 – 게다가 종교가 문화적으로 우리에게는 큰 의미를 차지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 9.11이라는 사건을 한발짝 떨어져 볼 수 밖에 없습니다.[하지만 인도인도, 아랍인도 서양에서는 Asian이라고 불리죠.] 그렇지만 9.11이후 미국작가들의 소설들만 봐도 ‘기원전, 서기, 포스트 9/11″이라는 말은 실감하지 않을 도리가 없죠. 게다가 더욱 대단한 건 저 사건이 미국과 알 카에다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우리처럼 문화적으로나 지역적으로나 멀리 떨어져 있는 인간들에게도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쳤다는 겁니다. 오랫동안 지속되던 냉전이 드디어 끝나고 “더 이상 핵폭탄 스위치를 잘못 눌러 인류가 멸망할 일은 없을 거야”라고 안심하던 차에 다시금 공포와 불안이 조성되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백인 주류를 제외한 우리 모두가 ‘처음에는 가해자였으나 다시 피해자가 된 그들’과 언제 같은 입장에 처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 때문일까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이와 비슷한 일을 벌일 겅우 비슷한 결과가 일어날까요? 그럴리가 없습니다. 그래봤자 대상은 가난하고 힘없는 나라일 테니까. 가정 자체가 우스운 거죠.
아무리 개독이 설치며 나라를 말아먹는다고 해도 말입니다. -_-;;;

덧. 사룩 칸은 인도영화를 잘 모르는 저도 이름을 들어봤을 정도인데, 연기 잘하네요. 인도 여배우들은 정말 여신들입니다. 으윽.

덧2. 인도는 아직도 힌두계와 이슬람계가 다투는 중인가요. ㅠ.ㅠ

덧3. 저는 칸이 감옥에서 풀려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인도주의적인 노력이 아니라 너무나도 노골적인 이유라는 그 자체가 미국에 대한 풍자라고 생각합니다. 

덧4. 헐리우드에 대한 인도의 문화침략 – 이라고 해야할지, 헐리우드의 ‘큰 시장 하나 또 잡았다! 열심히 활용해보자’라고 해야할지 – 이 한동안 자주 눈에 띄더니 드디어 이런 방향으로 나타나는군요. 한동안 “신기하고 신비한” 사이비 일본문화[중국인과 한국인들이 보면 코웃음칠]가 열심히 활개치더니만 과연 인도는 얼마나 잘 그려지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인도는 서양과 좀더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니 사정이 나을 것 같지만 말입니다.
그건 그렇고 요즈음 인도 경제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피부로 느껴지네요. 

덧5. 요즘 인터넷에서 “핀란드나 스웨덴도 그랬다 운운 하면서 이슬람문화가 들어오면 나라 망친다”고 글싸지르는 것들은 어디서 뭐하던 정신병자들입니까? 요즘 개독교가 미쳐가면서 여기저기서 들고 나오자 이걸로 무마해보려는 X새끼들인가요, 아니면 한민족 어쩌구하면서 하수구에서 기어나온 신나치주의 XX 들입니까?

“레베카” – 알프레드 히치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작을 거의 그대로 옮겨놨군요. 로렌스 올리비에라니, 으익! 하는 감이 조금 있었지만 비주얼적인 면에서는 합격입니다. 단지 처음 나레이션이 제가 생각하는 어투가 아니었달까요. 많이 성숙해진 여인의 차분한 어감을 기대했건만 어딘가 아줌마스러운 기가…쿨럭.

진행이 빠른데도 영화 시간이 꽤 깁니다. 그만큼 책의 내용에 충실하기도 하고.
가장 인상적인 캐릭터는 아무래도 댄버스 부인과 파벨. 파벨이 원작보다 지나치게 덜 야비하고 덜 멍청해서 외려 매력적으로 변해버렸습니다. 게다가 그 목소리가. ㅠ.ㅠ 여주인공과 댄버스 부인이 함께 나오는 장면들은 두 손을 꼭 붙잡고 볼 정도로 좋습니다. 긴장감이 돌긴 하는데 소름이 끼치기보다는 보는 사람에게 두근두근 뭔지 모를 기대감과 설렘을 갖게 해요.

히치콕 영화는 어렸을 적 “새”와 “싸이코”와 “이창” 과 제목 모르는 스파이 영화밖에 본 기억이 없는데 – EBS는 정말 멋진 채널입니다. – 확실히 나이가 들고 봐야하는 영화들인가 봅니다. 십대 초중반에는 그리 인상적이지 못했거든요. “싸이코”는 별로 무섭지 않았고 – 넵. 그런 아이였습니다. – “새”는 꽤 좋아했고 “이창”은 제임스 스튜어트 때문에 본 영화였지요. 그리고 물리학자와 그 딸이 나오는 스파이 영화는 별로였어요, 끄응. 그런데 이걸 코멘터리까지 두번 보고 나니 다른 애들이 무지 궁금해지네요. 혹시 다른 히치콕 영화 추천해주실 분 안 계십니까?

이창동의 “시”

감독의 다른 전작들을 보지도 않았고
무심코 텔레비전을 틀었다가 발견한데다
끝까지 볼 생각 없이 곧 자러갈 생각이었지만
생각 외로 새벽 세시까지 꼼짝않고 보고 말았다.

조용한 가운데 힘이 있구나.

보여주는 것을 만드는 사람들은
냉정한 부류가 있고, 감성적인 부류가 있고
냉정한 위에 감성을 감싸안는 부류가 있고
감성 위에 냉정을 힘겹게 쌓아 올리는 부류가 있다.

“밀양”이나 “오아시스”를 봐야 판단할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냉정한 스타일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감성이 조용하게 골고루 스며들어 있어
사람을 꼼짝 못하게 한다.

오랜만에 TV에서 좋은 영화를 봤다.

“맨 프롬 어스” 대체 뭐야!!!

분명 포스터에서 9월 30일 개봉이랬고,

여기저기 다른 곳에서도 9월 30일에 개봉이라는데
개봉관이 없어!!!!!!!!!!!!
어쩌자는 거냐!!!!!!!!!!!!
개봉한다고 설레발쳐놓고 개봉관 못잡은겨???  ㅠ.ㅠ
설마 기독교인들의 항의 때문에 개봉관을 못잡은 건 아니겠지? 이거보다 더 딱딱하고 흥행 안될만한 것들도 잘만 – 엄밀히 말하자면 그건 아니지만 – 개봉하더구만!!! 예술영화 타이틀 달고 전국에서 딱 한 곳에서 상영한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보다도 못하다는 거냐!
 우엉, 어쩌라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