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글 목록: 2019년 2월월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2018)

스튜어트 왕가 최후의 왕인 앤 여왕과
영국 역사상 유이하게 여성으로서 왕궁 살림을 맡은
말버러 공작 부인, 애비게일 마샴의 이야기.

어느 정도 기대를 하고 가긴 했는데도 재미있었다.
학창시절 찾아 보던 영국 왕조에 관한 영화들을 연상시키는 면도 있었는데
화면은 한층 업그레이드되었고
무엇보다 여왕을 중심으로 권력을 노리는 두 여자가 얽혀
레즈비언 + 왕궁 정치물이 되다보니
남성 왕을 중심으로 한 삼각관계보다 훨씬 스릴감이 뛰어나다.
소재 면에서 참신하기도 하고 – 왕들의 동성애를 다룬 영화가 그렇게 많을진대 여왕의 동성애가 안될 건 뭐람
내가 잘 모르는 이야기였기 때문에 더더욱.

앤 여왕의 히스테릭함은 항상 언제 사고를 칠까 두근거리고
말버러 공작 부인이 성격은 물론 권력을 탐하는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모든 게 매력적이라 나도 같이 흥분할 지경이었다.
(레이첼 언니 절 가져요! 승마복!! 아아악 언니 승마복!!!!!)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장면은
무도회 중간에 앤이 화를 내며 나와 복도에서 사라의 뺨을 때리는 장면.
그때 사라의 반응이 두 사람의 관계를 잘 보여줘서 좋았어.

하지만 아직도 마지막에 왜 그렇게 토끼를 크게 부각시켰는지 잘 모르겠군.
개인적으로는 애비게일 역시 그 수많은 토끼들과 같은 존재라는 의미라고 해석하고 있긴 하지만
그 연출은 너무….음 좀 기괴하잖아.

덧. 남자들, 특히 토리 당원들의 화장과 가발은 정말 ㅋㅋㅋㅋ 젠장.
난 영화가 시작하고 몇 장면이 지나간 뒤에야 분칠한 얼굴 속에서 니콜라스 홀트를 구분할 수 있었어. 아, 홀트도 이 영화에서 연기가 좋더라.

덧2. 영화 전체에 흩어져 있는 블랙 유머가 참으로 취향이었다.
같은 감독의 전작인 “더 랍스터”는 기대하고 봤는데도 별로였는데.

“FYRE: 꿈의 축제에서 악몽의 사기극으로” (2019) – 넷플릭스

밖에 안 나가니 요즘 넷플릭스 작품들만 보고 있는 것 같네.

나름 동시대 미국 문화를 따라잡자 싶어 처음에 “아메리칸 밈”을 틀었는데
화면을 보고 있는 내가 같이 바보가 되는 것 같아 중반을 넘기지 못하고 포기.
누군가 대신에 이 다큐를 보라고 추천해주었다.

저쪽 연예계에 관심이 없어 나는 전혀 처음 듣는 이야기인데, 심지어 누이마저 아는 걸 보니 꽤 떠들썩했던 사건인 모양이다. 이름깨나 있다는 사업가와 유명인사가 손을 잡고 ‘고급화’ 컨셉으로 음악 페스티벌을 준비하고 홍보했으나 실무는 전혀 신경쓰지 않은 채 입으로만 떠들었을 뿐이었고 결과적으로 페스티벌은 제대로 시작도 하지 못하고 하룻밤만에 취소되었으며, 고액 티켓을 산 피해자들은 기획자에게 역시 거액의 사기 및 피해 소송을 걸었다.

골자는 사실 어디서나 자주 봤던 평범한 이야기다. 무엇을 실제로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모른 채 이런 거 저런 거 하겠다고 머릿속에 공상만 잔뜩 하고 돈을 긁어 모았으나 당연한 귀결로 실패하게 되는 허황된 사업가 혹은 사기꾼의 이야기. 다만 이 사건은 관련 인물들 및 피해 규모가 상상 이상인데다 대대적으로 유명인사들을 홍보에 이용했는데, 그래서인지 메이도프의 사기행각이 떠오른다.

동시에 현대의 소셜 미디어가 얼마나 조작 및 선동에 손쉬운 플랫폼인지 짚어주는 것은 덤. 돈을 받고 이 행사를 홍보한 소위 인플루언서들은 피해자이며, 동시에 부분적인 가해자이기도 하다.

이 피상적인 작은 살아있는 사회에 대해서는 나도 아직 어떻게 판단을 내려야할지 모르겠다. 그 어떤 세상보다도 시끄럽고 북적거리는데 나 자신의 판단력을 성장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곳이 되어 가고 있는 것 같고. 늘 발을 디딜 때마다 조심하려고 노력은 하는데 그러다보니 현실 사회보다 더한 스트레스가 쌓이기도 한단 말이지.

증언을 보다 보면 직장인들의 애환이 느껴지는 작품이기도 하다. 후회 없었어.

크리드(2015)

록키 시리즈에 크게 관심이 있거나 추억이 있는 게 아니라서 “록키 발보아”도 보지 않았는데
크리드 2를 보기 전에 아무래도 봐 둬야 할 것 같아서.

그해 아카데미에서 꽤 호평을 들었던 것 같은데 그럴만 하다.
“스타탄생”의 리메이크작인 “스타이즈본”을 보며 어떻게 저런 촌스러운 스토리를 현대로 가져올 생각을 했나 했더니 그래도 이 정도면 선전했네, 라고 생각했는데 그 점에 있어서는 이 영화가 한수 위.
이탈리아 이민자의 삶을 흑인 커뮤니티의 계승으로 잇는 걸 보면
소수집단의 가시화는 정말로 순차적으로 이뤄지는구나 싶기도 하고.

MCU “블랙팬서”의 감독인 라이언 쿠글러의 작품이고
같은 영화에서 연기한 마이클 B. 조단과
“토르3:라그나로크”의 테사 톰슨이 출연하는데
(물론 이 작품이 시기적으로는 가장 먼저)
배우들의 연기가 히어로물과는 전혀 달라서 역시 다양한 영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또 다시 실감했다. 그런데 이 감독은, 음, 액션에 그다지 뛰어난 것 같진 않아. 오히려 드라마 쪽을 더 잘그리는 것 같은걸. 그런 점에서 마지막 결전보다도 앞과 중간 지점들이 더 기억에 남고. 의외로 기대 안했던 음악들이 화면과 찰떡궁합이라 좋았던 듯.

“클로즈(2019)” – 넷플릭스

누미 라파스 주연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사설 경호원인 샘이 부친의 죽음으로 막대한 재산을 상속하게 된 조이를 경호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사건.


어쩌다 예고편을 보게 되어서 저건 챙겨봐야지 했는데 때마침 올라온 걸 보게 되었다.

기본 스토리와 빠른 전개가 좋았어.
요즘 누미 라파스가 이런 액션 전문이 되어 가는 게 아닐까 하는 불안감도 약간 있는데
그래도 누미가 싸우는 건 좋다.
다른 평범한 영화들처럼 조이를 판에 박힌 철부지 아가씨로 그리는 게 아닐까 생각했으나 의외로 그런 상황에 처한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덕분에 영화를 보는 내내 샘보다 조이에게 더 이입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다보니 19금이긴 해도 그 정도 등급을 받는 다른 액션 영화들에 비해 잔인한 장면이 덜한데도 불구하고(솔직히 다 보고 나니 이 등급이 나온 이유를 잘 모르겠다. 심지어 이 전에 내가 가장 최근에 본 게 건 극장판 “알리타: 배틀엔젤”이다 보니.) 실제 상황처럼 저도 모르게 온 몸에 힘이 들어가더라. 저 상황 자체가 그냥 영화로서 구경하고 있다는 느낌보다 훨씬 감정적으로 가까운 충격을 줘서. 조금 생각해보면 다소 슬픈 일이기도 하군.

요즘 쓸데없이 긴 영화들과는 반대로 러닝 타임이 겨우 1시간 30분 남짓. 시간을 10분 정도 더 늘리거나 사건을 하나쯤 더 집어넣어 넣거나 적어도 상대 회사가 어떻게 되었는지 마무리 장면이라도 넣어줬더라면 더 좋았을 걸 그랬다. 클리셰를 피해갈 거라고는 생각했으나 최종 악당에 대한 이야기가 스쳐 지나가는 수준이라 영화의 목적이 갑자기 확 죽어버린 느낌. 말하자면 영화의 마무리 때문에 샘에게 더 큰 초점이 맞춰지고 왠지 후속작을 노리는 게 아닌가 하는, 방향이 살짝 바뀌었다는 인상을 준다.

크게 가볍지는 않지만 밤중에 남은 시간을 보내기에 좋은 영화였다.

덧. 인디라 언니 나오신다. 아이고 언니, 제가 언니의 얼굴을 정말 너무너무 사랑하여서 ㅠㅠㅠㅠ 어떻게 저런 얼굴에 저런 목 선을 가질 수 있지 아이고 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