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 선생님 인터뷰 기사

“바람의 나라”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만화 부문 대상을 타면서 별님 인터뷰 기사가 곳곳에서 보이는군요.

1. [김문 기자가 만난 사람] ‘바람의 나라’ 만화가 김진

…전략

그는 작품을 구상하거나 집필을 할 때 가끔 주인공을 불러낸다고 했다. 작품속의 주인공 또한 작가를 부르는 경우도 있단다. 그럴 땐 서로 만나 질펀하게 굿을 하면서 무언의 교감을 갖는다고 했다. 그는 “남(주인공)의 인생이라도 작가가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역사속의)그 사람이 했던 일과 인생을 틀리게 해서도 안 되고 역사 또한 망가지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신에 대해)어쩌면 역사속의 인물과 만나 굿판을 벌이는 것이 업보가 아니겠느냐.”고 했다. 아울러 모든 역사를 작품으로 다룰 수는 없으며 서로 인연이 있어야 된다고 부연했다.

…후략

2. [직격인터뷰]만화가 김진 “왜 굳이 대무신‘태’왕이라고 하나”
참고: 동영상 버전 – 동아 eTV

…전략

“저는 대무신왕의 기록을 의심하지 않고 봤습니다. 삼국사기에서 10살 때 전장에 나가 싸웠다면 그렇다고 생각했고 7살 때 부여에서 온 사신과 ‘누란지위(累卵之危)’를 논했다면 당연히 그랬을 것이라고 받아들였습니다. 옛날 왕자라면 또 그 정도의 교육을 받습니다. 대무신왕은 쓰는 단어 단어가 공부를 많이 한 사람입니다. 말 타는 기상도 좋지만 고구려 시대의 지적인 우아함 역시 동시대 중국 왕조 못지않았을 겁니다. 그런 면도 드라마에서 표현해 주었다면 좋지 않았겠나 하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그는 또한 “대무신왕을 왜 굳이 대무신태왕(大武神太王)이라고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문제 제기를 하기도 했다.

“이런 말을 하면 다들 싫어하지만, 고구려왕이 왜 굳이 황제가 돼야 합니까. 황제라는 말도 중국의 진 시황제(秦始皇帝)가 제일 먼저 쓴 말이 아닙니까. 장수왕이 세운 광개토대왕비에서는 대무신왕을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이라고 표기해 놓았어요. 태왕이나 황제니 하면서 너무 남의 나라를 의식할 필요는 없습니다. 고구려도 처음에는 약했어요. 못 살았어도 우리고 잘 살았어도 우리입니다. 국력이 약했을 때도 국력이 창성했을 때처럼 역사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후략

3. [문화] 만화가 김진 ‘바람의 나라’ 콘텐츠대상 수상

…전략

그러나 김 작가는 요즘 자본시장이 지나치게 원소스멀티유즈를 강조하는 풍속도를 달가워하지 않는다.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원소스멀티유즈를 강조한 나머지 정작 중요한 양질의 콘텐츠라는 싹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게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창작자가 세상에는 없는 콘텐츠를 만들겠다고 하면 어떤 콘텐츠인지 다른 사례를 들어 표현하라고 한다”며 “다른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면 그 건 세상에 없는 독특한 콘텐츠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투자자들은 작가들에게 ‘해리포터’나 ‘반지의 제왕’처럼 세계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라고 하면서 세계를 겨냥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왜 우리가 세계인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하는가”라고 의문을 표시했다. “한국 작가는 우리나라 사람을 위한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믿는 그는 “해리포터는 영국 아이들을 위해. 일본 만화는 일본 애들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강조했다

…후략

+++

제가 별님을 존경하는 건, 이런 말씀을 하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김진 선생님 인터뷰 기사”에 대한 14개의 생각

  1. rumic71

    굳이 ‘세계’를 위해 만들었다는 일본 애니메가 있었죠. ‘안네의 일기’라고 (결과는 참담)

    응답
  2. eponine77

    ‘굿을 한다’라는 표현을 보니…예전에 댕기에서 떡본 김에 굿했던 그 특집회가 불현듯 생각나는군요. 어쨌거나 구구절절히 옳은 말씀입니다. 사실 이것이 정말 기본이 아닌가 싶은데…요즘 기본을 안지키는 작품들이 범람하는 시기에 살고 있는 것 같아요.

    응답
    1. lukesky

      아하하, 저도 생각납니다. ^^
      기본을 안지키는 작품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 방식 자체가 "좋으면 좋은 거지"족으로 굳어지고 있어 매우 안타깝습니다.

      응답
  3. 곤도르의딸

    못 살았어도 우리고 잘 살았어도 우리입니다. 국력이 약했을 때도 국력이 창성했을 때처럼 역사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 이거 참 가슴에 와닿는 말씀입니다…

    응답
  4. totheend

    누구네처럼 "세계적인 작품"을 외치면서 사기만 치고 결국에는 남의 아이디어를 훔치다가 다 들통나고 개죽을 쑤어버린 족속들하고는 너무 비교가 되는 분입니다. (하긴 그런 놈들과 비교를 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지요.)

    응답

rumic71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