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넷플릭스

“버드박스”(2018)

넷플릭스 오리지널.

몇 개 안 되긴 하지만 내가 본 넷플릭스 오리지널 중에서 제일 좋았다.

눈으로 목격하면 비정상적인 자살 충동을 느끼게하는 어떠한 존재가 세상을 휩쓸고
그 와중에 살아남으려는 사람들과,
아이를 데리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려는 여주인공의 이야기가 교차로 진행되는데

이제껏 수없이 반복되고 변주된 미지의 공포, 봐서는 안 되는 것을 다루면서도
익숙하다거나 지루함 없이 끌어나가는 솜씨가 일품이고
산드라 블록의 연기도 굉장해.

게다가 등장인물들의 행동이, 묘하게 가식적이거나 인위적인 부분이 없다.
무슨 차이인지 모르겠어. 분명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설정들이고 평소 보던 위치를 맡은 구성원들인데도 이들의 행동방식은 누구라도 될 수 있는,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이 언제든 이 중 누구에게라도 이입할 수 있는 듯 보여서 – 정의롭다기보다 인간적이고 친절한 이들이고, 야비한 이들도 왜 그런 결론에 이르게 되었는지 이해가 가서 – 굉장히 환상적인 설정인데도 현실감이 있다. 시각적인 것의 현실감, 잔혹하거나 냉정하고 잔혹한 것이 곧 현실이다라고 외치는 것들이 실은 얼마나 원초적인지 새삼 깨닫게 되고.

바깥 세상을 알지 못하고, 심지어 바깥을 내다보지도 못하는 캄캄한 버드 박스.

원작 소설이 있다고 한다.
궁금하네.

“블랙미러: 밴더스내치”

블랙미러 시리즈는 사실 본 적이 없는데
넷플릭스에서 인터랙티브 영화를 내놓았다고 해서 호기심이 동하는 바람에.

웹버전에서는 실행 불가, 전화기나 타블렛 등 휴대용 기기에서만 탭으로만 실행이 가능하다.

초반에 보면서도 이렇게 분기점마다 관객이 선택할 수 있다면 실질적으로 게임과 무엇이 다른가, 라는 의문이 있었는데 실제로 선택지가 제한되어 있고, 잘못된 선택지를 택하면 끊임없이 앞으로 돌아가는 식으로 관객의 선택을 몇 가지로 한정해 유도하고 있다. 그런 식으로 엔딩을 세 개 봤는데 아마 총 대여섯 개 쯤 있을 것 같고 그 외 크게 호기심이 일진 않아서 다 찾아보진 않았다. 그 외의 다른 엔딩들에 ‘이 이야기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가 설명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영화 바깥으로 나가지 않는 고전적인 엔딩이 있는가 하면, 관객들을 끌어들이는 넷플릭스 엔딩도 있다. 일부러 피해가려고 노력했는데, ㅋㅋ 나머지가 하도 정석의 길을 걷다 보니 오히려 그 결말이 제일 흥미로웠다.

개인적으로는 굳이 영화에서 이런 형식을 취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지라 이런 것도 있구나, 라고 경험한 것으로만 만족한다. 관객이 참여하는 이 같은 형태는 이미 게임에서 숱하게 다루고 있고, 영화나 드라마에서 이런 형식은 오히려 몰입도를 떨어뜨리고 현실감을 주입시키는 감이 있다. 실제로 이 영상 자체도 조금 어수선하고, 같은 내용을 다시 봐야한다는 점에서 외려 시간낭비로 느껴지기도 한다. 나는 역시 구식인가봐.

“서던 리치: 소멸의 땅” (2018)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 “서던 리치: 소멸의 땅”

삼부작 원작 소설이 있다고 한다.

내용을 전혀 모른 채 그저 미지의 땅으로만 들어가는 이야기라고만 알고 있었고
나탈리 포트만만 알고 있었던 것과 달리 호화로운 캐스팅에 처음 놀랐고
결말도 그쪽으로 갈줄은 몰랐다.

중반까지 현실같지 않은 쉬머의 안쪽을 묘사하는 방식이 좋았다.
기괴한 동물들도 식물들도,
보통 미지의 세계에서 무너져 내리는 집단을 보여주는
광기의 묘사는 생각보다 밋밋하고
그보다는 마약을 한듯한 몽환적인 분위기 쪽을 좀 더 살렸다.
나탈리 포트만은 특유의 신경질적인 데가 있어서 이런 역할에 특히 잘 어울려.

막바지에 컴퓨터 그래픽 장면들이 너무 길어 흥이 좀 깨지긴 했는데
케인의 결말도, 리나의 결말도 마음에 들어.
케인보다도 리나가 훨씬 위험하지. 하이브리드 변종이니까.
그러니 리나가 거짓말을 했다고도 해석할 수 있는 쪽으론 가지 않기로 했다.
이 편이 훨씬 흥미진진하니까.

나라면 아마 조시와 비슷한 결말을 맞지 않았을까 싶지만.

그건 그렇고 여기서도
가장 목소리 크고 강하고 어떤 것에도 개념치 않을 듯이 보이는 캐릭터들이
정신적으로는 가장 먼저 무너지는 걸 보여주는구나.
클리셰긴 한데.

“우리의 계절은” (2018)

넷플릭스 자체제작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 제작사가 만들었다고 한다.
어쩐지 제목도 좀 비슷한 듯.

난 분명히 누군가의 “중국을 배경으로” 라는 문구에 이끌려
중국 제작진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자본만 일본이 댄 중국 애니메이션일 거라고 기대했는데

영화를 구성하고 있는 세 단편 가운데
첫번째 이야기만 약간 그런 감성이 있을 뿐
나머지 두 이야기는 전형적인 일본 애니의 감성이다.

두번째 이야기는 솔직히 특성 자체라고 부를 게 없어 말할 가치가 별로 없고
(아, 정말 틀에 넣어 찍어낸 듯한 여동생 캐릭터라니)
세번째 이야기는 배경만 중국일 뿐 이제까지 수십 번 본 일본의 소꿉친구 이야기를
배경만 중국으로 가져온 것 뿐.

그래도 첫번째 미펀 이야기는 군데군데 생활상을
조금이나마 암시하는 부분이 있어 괜찮았는데
(어느날 사라져버린 첫 가게 집 부부는 어디로 간 걸까.)

혹시 그 편만 중국 감독이었던 걸까.

기대를 너무 져버려 별 의미가 없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