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글 목록: 2017년 11월월

“토르 3: 라그나로크”

“토르: 라그나로크” 보고 왔습니다.


아, 예고편과 포스터를 보고 짐작한 바가 맞아 떨어지긴 했습니다만,
이 영화에 대해 제가 좀 이중적인 감정을 갖고 있음을 고백해야겠습니다.

재미있었어요.
솔직히 정말 재미있게 보고 돌아왔어요.
지루할 새가 없더라고요.
다시 볼 시간만 있으면 충분히 다시 보러 갈 것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도 해 줄 겁니다.

다만, 제가 “토르1″과 “퍼스트 어벤저”를 좋아하는 인간이라는 데에서 내적 갈등이 비롯됩니다.

전 케네스 브래너의 그 신화적이고 비극적인 이미지를 좋아하고
크게 거슬리지만 않는다면 촌스러운 CG에도 별로 개의치 않습니다.
“다크월드”는 로키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졌다는 데 문제가 있었지
인물들의 비극적 관계성은 나쁘지 않았단 말이죠.

영화의 전체적인 균형은 잘 맞아요.
인물들끼리도 잘 어우러지고
새로운 인물들도 좋았고-그러나 그랜드마스터는….대체 콜렉터와 다른 게 뭐죠-
만담도 재치가 넘쳤고,
헬라의 비중이 생각보다 컸던 탓에
[오, 헬라는 설정상으로는 정말 좋은 악당입니다}
진지함과 신화적 설정을 헬라에게 모두 몰아줌으로써
헬라와 어우러지는 부분에서는 어느 정도 정통성도 유지했습니다.

이게 단독영화였거나 시리즈의 첫 영화였다면 정말 좋았을 거예요.

그런데 ‘주인공’과 인물과 연속성의 측면으로 돌아가보면,
분명히 모든 문제를 해결했고 결말도 적절하고
[제 취향상 ‘집 없는 이들의 왕’이라는 포지션이 정말 마음에 들었습니다.]
인물들이 성장도 했는데,

깊이도 없고 ‘과정’도 없습니다.
영화 내내 토르는 배너와 농담을 하거나, 발키리와 농담을 하거나,
로키와 농담을 하고
[주인공이 중요한 상대인물과 갈등을 극복했는데 그걸 혼자서, 우리가 안 보는 곳에서 해결했습니다.
로키도 이건 어느 정도 마찬가지고요. 저 첫 연극 장면에서 조금 기겁했는데 로키를 너무 ‘비웃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건 로키의 방식이 아니에요. ]
오로지 헬라 앞에서만 진지해지는데

새로이 밝혀진 도덕적인 비밀 앞에서도 전혀 갈등하지 않고
‘능력’을 얻기 위한 – 사실 이건 간단히 말해 ‘정체성’인데도요
노력, 또는 생각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있으며
현재의 적을 대화를 나누거나 이해를 시도하는 인간이 아니라 그저 단순한 ‘장애물’로 취급합니다.

헬라는 영화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분명히 토르와 로키와 연관지어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토르나 로키와 (실질적으로) 대화를 하지 않습니다.
정서적으로 상호작용을 전혀 하지 않아요.

헬라는 오직 관객에게 말을 걸고 관객과 대화하고 관객만을 설득합니다.  

헬라뿐만이 아니라 이 영화는 전반적으로 아무도 깊이 있는 대화를 하지 않아요.
진지한 것도 복잡한 것도 싫어합니다.
아니, 그보다는 ‘갈등’을 싫어합니다.
이건 “가오갤”이나 “앤트맨”과는 또 다른 종류의 회피적 성향인데,
가오갤은 대놓고 병맛개그라면 토르는 어느 정도 생각할만한 소재를 가져와서
던져놓고는, 던져만 놓고 건드리지 않습니다.
뭐라고 설명해야할지 모르겠는데,

영화 자체는 재미있게 보고 나왔으면서도 생각할수록 이 부분이 영 꺼림칙하면서 이상해요.
이건 순진하다고도 말할 수가 없거든요.

신나고 재미있고 잘 만들었는데

이상해요. 굉장히 이상합니다.

배너야 자기 영화가 아니니까 캐릭터가 붕괴하는 건 이해한다고 쳐도
로키의 캐릭터붕괴는 많이 당황스럽고

스컬지, 빌어먹을 스컬지야말로 제일 안타까운 게
그나마 뭔가를 넣어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는 캐릭터였는데
그렇게 기계적으로 연출해놓으면 어쩌냐고요.
클리셰적인 게 싫었으면 아예 넣지를 말든가요.
실질적으로 제일 입체적인 캐릭터가 될 수 있었는데 이뭐….

모르겠어요. 전 천성적으로 진지한 걸 좋아하는 인간인지라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요, ‘감성’이 거세되어 있다는 게 가장 적절한 표현일 것 같습니다.

그래도 케이트 마님은 멋졌어요. ㅠ.ㅠ 기꺼히 무릎을 꿇을 것입니다.
그건 그렇고 둘다 Kneel이라니, 역시 헬라와 로키가 동기 간이고 토르가 입양된 게 아닐까요.
개인적으로는 프리가와 헬가가 어떤 관계였을지가 제일 궁금해요.
그리고 발키리의 이름은 무엇이란 말입니까, 대체.

넷플릭스 “우산혁명: 소년 vs 제국”

원제는 “조슈아”

중국 본토의 정신교육이라 할 수 있는 국민교육에 반대하여 14세에 학생운동조직인 학민사조를 조직하여 홍콩 정부의 항복을 이끌어내고 이후 홍콩 우산혁명에서 학생운동 주축으로 활동했던 조슈아 웡과 동료 학생운동가들에 관한 다큐멘터리.

무심코 선택했는데 올해 선댄스 영화제 출품 및 수상작품이라고 한다.

내가 어렸을 적, 일본문화가 개방되기 전에 홍콩은 내가 알던 아시아 최고의 자유국가이자 선진국이었다. 영화 속 거리에서는 외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돌아다녔고 홍콩인들 역시 유창한 영어를 말하며 영국 국기에 경례를 했다. 홍콩반환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것과 약간 다른 의미로 지난 세기와 21세기를 가르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에 태어난 세대는 그야말로 독특한 이들이다. 그들은 중국인도 아니고 식민지인도 아니다. 식민지 시절의 자유로운 홍콩의 혜택을 받으면서도 늘 중국 본토가 그들의 일부분이며 항상 옆에 존재하고 있음을 피부로 느끼는 세대다.

그럼에도 자신들이 무엇을 잃어가고 있는지를 알고 있기에 가져야 할 것을 갈망하는 세대. 앎에서 자생적으로 일어난 학생운동. 신기할 정도로 차분하고 어른스럽고 동시에 냉정한 이 운동가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재와 겹쳐보이면서도 동시에 많이 다른 이들이 새로운 정당을 통해 앞으로 조금씩 더 많은 승리를 맛보고 원하는 결과를 일궈낼 수 있기를 바란다. 갈등하고 분열하고 좌절하겠지만, 그래도 수십년 뒤에 지금보다 더욱 자랑스럽게 돌아볼 수 있길 바란다. 그리고 무엇보다 부디 살아남기를.

수년 전 홍콩에 며칠 여행을 갔을 때 광장에 세워져 있던 대자보를 발견한 기억이 난다. 묘한 곳이었다, 그곳은. 그러한 대자보를 보며 이곳이 본토와는 다른 곳임을 느끼고, 경찰이 아닌 군복을 보며 중국의 일부임을 느끼며, 시내 한가운데 건물들을 점령한 동남아 출신 파출부들을 보며 기괴함을 느꼈다.

아무래도 나는 영어권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기에 주변 아시아국의 정황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거나 이해도가 낮은 경향이 있다. 우산혁명 당시 조슈아 웡은 상당한 유명인사였던 모양인데, 전혀 모르고 있었다. 지금이라도 조금이나마 알게 되어 다행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