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감상/읽고

사장을 죽이고 싶나

 솔직히 정말 아무 정보도 없이 집어든지라 중국발 추리소설이라는 것도 몰랐다.
추리소설로서의 기본 트릭은 일본 쪽 분위기를 풍기는데 그 기저에 아마도 작가의 전문분야인 듯한 제1세계와 중국의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이 깃들어 있고, 거기에 고전적인 반전도 있어 굉장히 현대적? 아니야, 국제적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여하튼 이제 정말로 많은 것들이 섞이고 있다는 걸 체감하겠다.

고전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아무래도 현실의 나와는 거리가 먼 배경과 더불어 이 장르를 일종의 판타지와 비슷하게 인식하는데, 이 작품은 트릭은 판타지지만 배경 자체는 서구권 작품들보다 훨씬 가깝게 느껴지다보니 가끔 그 양 경계를 넘다들 때 괴리감이 조금씩 느껴진다. 하나로 녹아들어가 있다기보다는 여러 가지가 아직은 이질적으로 섞여 있는 느낌.

그렇지만 충분히 재미있었고, 궁금해서 순식간에 읽어치웠다. 제목이 다른 문장형이었다면 더 어울렸을 것 같은데.

토피아 단편선

유토피아 편을 먼저 읽었는데, 디스토피아를 그리기 위해 유토피아를 그릴 필요는 없지만 유토피아를 묘사하기 위해서는 디스토피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굳이 두 주제로 나눌 필요가 있었나 하는 의문이 들긴 했다. 무엇보다 둘 다 결국에는 벗어나야 하는 곳이기 때문에 반대로 디스토피아 편이 더 희망적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도 흥미로웠고.

유토피아 편에서는 김초엽 작가의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가 가장 좋았고, 가장 주제에 근접한 게 아니었나 생각한다. 디스토피아 쪽이 작가들도 더 편하게 쓴 것 같아서 나 자신도 더 몰입해 읽었는데, 가장 취향에 맞는 걸 꼽으라면 정도경 작가의 ‘너의 유토피아’였다.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

역시 애매해

스티븐 킹의 “자정 4분 뒤” 중편집을 읽고.

거참, 킹은 묘하게 안 맞는 듯 한 작가란 말이야.
필립 K. 딕은 내용 자체는 가물가물하더라도 적어도 핵심적인 대목이 머릿속에 깊이 박혀 있는데
스티븐 킹은 이미 읽은 작품들도 강렬한 이미지 없이 두리뭉실한 스토리만 남아 있어.
처음과 중반 그리고 종반까지도 한참 몰두해서 흥미진진 속도감있게 읽다가도
결말이 늘 시시해서
앞부분까지 다 잡아먹어 버리는 느낌.
덕분에 책을 덮고 나면 다 까먹어 버리네.

그래도 “악몽과 몽상”은 읽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읽은 책들

 “우리가 추방된 세계” / 김창규

표제작품인 “우리가 추방된 세계”는 예전에 다른 앤솔로지에서도 읽었는데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전체적으로 보통 사람들이 SF라고 하면 떠올릴만한 배경을 토대로 본질적으로 추리, 스릴러, 공포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어서 심심할 틈이 없는 책이다. 제일 마음에 드는 건 여전히 “우리가 추방된 세계”지만 “발푸르기스의 밤”과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가 가장 좋았다. 일단 단편부터 시작했는데 “삼사라”도 조만간 읽어야겠어. 꽤 취향에 맞는 작가를 발견한 것 같아 기쁘다.

“냉면”

도서전에서 안전가옥의 두 책을 두고 고민하다가 지인이 추천해준 책으로 집어왔더랬다. 기대했던 것보다 더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중화냉면”이야기가 가장 마음에 들었고, “목련면옥”은 그런 류의 글이 끼어있을 거라고는 예상치 못해서 뜻밖의 재미가 있었다. 남극과 하와이안은 두 작가답긴 하지만 여기서는 묘하게 어울리지 않는다.

흠, “대멸종”도 주워올 걸 그랬나. 그렇지만 주머니 사정에 너무 버거웠어. 디스토피아 이야기는 아직도 읽을 게 너무 많았고.

“카산드라” /크리스타 볼프

트로이의 카산드라 이야기는 여자의 입에서 나오는,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 옳은 예측과 평가라는 점에서 해석이 무궁무진하고, 비극일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늘 사람을 먹먹하게 만든다. 가장 이성적인 사람이기에 주변의 광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이성을 놓을 수 밖에 없고, 그렇기 때문에 미친 여자라는 평을 듣게 된다는 것은 지금까지도 통용되는 이야기다. 예전에 “메데이아”가 나왔을 때 읽어둘 걸 그랬어. 황금가지에서 나온 건 너무 오래되어서 지금 읽으면 뉘앙스가 좀 미묘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